Title: Thus, Art Continues (working title)

[This essay is based on a review the author wrote for the October 2012 issue of Art in Culture, a monthly art magazine in Korea]



“What can art actually do?” This is probably a question that artists repeatedly ask themselves, and it is precisely this question that MOON Kyungwon and JEON Joonho’s reflective project, News from Nowhere, was initiated from. Although to answer this question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introspection, MOON and JEON have persistently expanded the boundaries of its answers through careful coordin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 They selecte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both art and non-art, as their ‘advisers,’ had in-depth conversations with them, and introduced parts of this process on their project website (www.newsfromnowhere.kr) in the form of ‘newsletters.’ For example ‘Newsletter 07’ depicts the conversation MOON and JEON had with film director LEE Changdong in Seoul in April 2011, and ‘Newsletter 15’ depicts the one they had with composer Toshi Ichiyanagi on his concept of experimental music.



Through conversations like these, we are naturally involved in the various perspectives on art. In other words, we are able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our own principles and others’ power of argumentation within their questions and answers. In addition, by critically tracing the origin of such power, we are able to contextualize the differences in values. In this current era, in which I can easily feel that art is caught up in nihilism and esotericism and thus alienating from the realities of society, I believe that the endeavors of MOON and JEON to search for the various echoes of thoughts that exist in relation to art are not based on poverty consciousness that seeks to manifest the authority of art, but rather a philosophical attempt that seeks to show the multidimensional social relationships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layers of art.



The creative process of MOON and JEO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linguistically rather than figuratively, does not aim to create ‘artworks’ that are neither entirely harmonized nor complete. ‘Newsletter 01’ outlines the two main pillars of their project – ‘Platform’ and ‘EXPO.’ ‘Platform’ represents MOON and JEON’s will to provide direction towards the flow of art and its tributaries, and ‘EXPO’ represents their efforts to recognize and actualize the possibilities of participation-based aesthetic production. This is a rather dangerous setting that may get caught up in the typical potents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refore following predominant non-visible factors. However, the standards and norms that the contemporary art world has established have come to display collective binding force, and MOON and JEON use only arguments that justify the approval method of those standards and norms.



In this light, the conversational method of MOON and JEON is characterized by aesthetic criticism. Normally, a theorist bringing into question the method in which art is discussed in an authoritative manner would morally reject existing hierarchical standards or rush to reach a new moral consensus. However, what I believe needs to come first is to present possible grounds to transform the perspectives in which the discussion can be carried out and search for ways to expand the sentimental and perceptional boundaries of the viewer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the question is posed not by a theorist but by figurative artists (like MOON and JEON).



MOON and JEON structuralize the voice of the person who they have a conversation with and substitute their private linguistic experience in an intellectual territory open to the public. By doing so, the materiality of the newsletter texts stir up the need for an honest explanation and correction of the collective elements that had constituted the art world up until today. In this way, MOON and JEON are their own curators.  Their method has much possibility to expand into critical intervention on the pathological factors of the art field, both in the art community in Korea as well as the global art world. MOON and JEON have selected this method to overcome the reality of false discussions and subordinative agreements. I would like to affirm the method of self-curating, which does not give into resignation but rather discusses and questions the current overwhelming situation of humanity and the world, as an opportunity for self-denial and self-dissolution as an artist. Of course, the suspicion that selective reproduction of knowledge power is utilized as a method to achieve universal aesthetics is unavoidable, and the discordance between desire and authority may come as pain.  Thus, they must accept the risk that the method may be seen as dumb sincerity in our current society.



MOON and JEON, together with 6 ‘collaborators’ (or team) imagine the progression of history and carry out diverse experiments on aesthetic criticism to envision the future. Rather than arriving at an explicit expression, the artist duo reflects on today’s society and explores the future in a calm tone. Such a method, like the previously mentioned conversational method, takes on a similar experimental attitude. In ‘Newsletter 04,’ the creation process of fashion designer Kosuke Tsumura’s uniform was introduced as follows:

“Designing the prototype uniform does not simply aim at providing sci-fi video images or dealing with the future; it also seeks to establish a setting that enables viewers to discu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Designing this uniform was an approach in examining what visions of the future we need to have today. However, it was also a conversation to share different philosophies and opinions from a number of different fields. This symbolic uniform will be worn by the main character in the promotional film and have experts from a wide range of different fields talk about the future.” ‘Newsletter 10,’ which contains information on the workshop TAKRAM, a Japanese design group, held about the design and creation of a portable water bottle for the post-apocalyptic world, also illustrates MOON and JEON’s artistic direction: “This future-oriented item is not just aimed at addressing the future and raising issues about it, but about discussing various things about the present. There is also a goal to examine the practical role of art and to reflect on what vision we should have in today’s world concerning art.” Some may question if TAKRAM’s design has its purpose in providing a material to replace human incompetence, in terms of dealing with reality. Others may view it as an attempt for the social sublimation of art in that it reflects human rationality that seeks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ough infinite productivity.



Then how can we discuss the meaning of the artist duo and collaborators’ experimentation? 

Perhaps the process in which we search for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ill be one way to find out why the continuously developing human world needs art. Or it may b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issue on the long-standing expectation of humanity to undefinedly depend on the reality of art and recall humanity from art. An artist - who envisions the art of the future - selecting science as the background is a natural manifestation of human desire to view nature as something to be conquered.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art itself is social, thus society is what imposes what kind of role art should take and forces its practice. Like this, MOON and JEON’s project allows the viewers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multidimensional tasks of art – the task assigned from the soci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of the artist, as well as the task assigned from the world environment as a whole - for the sake of perception of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of art. This is probably because they seek the original duty of art in the creativity of humans, with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reality and envisioning the future.



Like this, we were able to hear about the method MOON and JEON took for Voice of Metanoia – Two Perspectives. Both MOON and JEON are far from implying inevitability or emphasizing the undeniable wonders of art. Rather than denying reality or concentrating on reality to predict the future, they seek full consciousness that allows them to envision the future. Thus, they suggest the audience a reflective homogenization based on language and science. When the attempt to voice out against art, though weak, is visualized as a reflective testimony, thought in an indeterminate situation requires a series of active and operational exploration.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ndeterminate situations obviously carry confusion. This ‘confusion’ was not able to establish its existence in the modern world, but within the creative practice of MOON and JEON, it becomes a conceptual ground for the future.



MOON and JEON propose a practical argument of their own by presenting visual formations that may be either hypotheses or solutions to the question on the social nature of art, which they had pos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t the exhibition that they had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in 2012, MOON and JEON presented the fruits of their collaborative work including wall drawings, poster graphics, film, automatic control machine system and carpet quilt. These works of art allow contemplation on the creative values of an artist that can be attained as working consciousness, simultaneously, they converge the dialectic relationship of man-made substances that pass through the productive nature of art. For example, like Angelus Novus was a histo-philosophical object of contemplation for Walter Benjamin, Bonjour Monsieur Courbet was reborn into Welcome Mr. Courbet! to symbolize the battle of the artists against social aporia for MOON Kyungwon and JEON Joonho. El Fin del Mundo, too, allows contemplation on the artistic attitudes of humans who cannot but face the destined relationships of nature and technology as well as extinction and birth. It may be questionable whether there exists a mental space, for us humans, for art in facing an apocalypse, but if there is one ‘humane’ thing that can calm fear regarding the issue of existence, then that would art. And this hope that is only possible with art can be viewed in El Fin del Mundo.



MOON Kyungwon and JEON Joonho seek to reveal the details of the troubles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order and overcome such troubles through creative energy. This is precisely the strategy that they take on Voice of Metanoia – Two Perspectives. Thus, the basic logic leading their art form, which can be compared to osmotic phenomenon between self-reflection and practice, does not settle on any coercive answer.  Such strong artistic will of the two artists is observable in the exhibition hall. Their unfamiliar yet conceptual orderliness captivate the viewers. The viewers are able to realize why the work of the artist duo who thematizes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of art, a concept that is not new in the age of capital, are not confined to artistic avant-gardism or artistic fetishism. We must remember that the moment the content is substantialized as an artistic form, the social concept paradoxically may not be able to display its natural activeness. Some viewers, who had expected breath-taking, resistant art forms, are suspicious that the artists are rather concealing the triumph of authority or ambiguously delaying its exposure. However, thanks to such a unique method, the sincerity of MOON and JEON proposing art as “a design to transform human consciousness” was able to avoid the simplicity that is only felt in terms of sensual stimulus.



I am curious to know how MOON Kyungwon and JEON Joonho’s project will unfold in the future and what kind of new questions they will pose. The landscapes of time that were observed in their work are not simply the outcome of art. Through their delicate and polished conversational language, restraint on direct representation, discovery of new representation, and structural space filled with various events and description, MOON and JEON were somewhat successful in creat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ole of art and aesthetic quality. At the same time, their project also played an appropriate role as a historical montage allowing the realization of irrationality of the rationality of artistic discussions since the modern era. The topic that MOON and JEON brought up in the very beginning, precisely “contemplation on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of art,” boils down to an important responsibility for art and artists in the current era dominated by lifeless art. The creative attempt of MOON and JEON will not only reveal the internal constituting principle of artworks but also the social content that are buried inside, therefore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art and artists and specifying the existence of art. Let’s see where their persistent explorations and bursting collaboration takes them. Thus, art continues.



제목: 그럼으로써 예술은 계속된다(가제)

[주. 이 글은 필자가 한국의 월간미술잡지 『아트인컬처』 (2012년, 10월호)에 기고한 리뷰를 근간으로 함.]

어쩌면 예술하는 사람들이 매번 반복적으로 스스로에게 던지는 물음일텐데, “예술이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화두로부터 문경원․전준호의 반성적 프로젝트 <News from Nowhere>는 시작되었다. 만만찮은 성찰의 무게를 요구하는 그 질문의 구조를 세심하게 조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두 작가는 해답의 전망을 쉼없이 열어왔다. 그들은 예술/비예술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조언자’로 선별하여 대화했고, 그 과정은 프로젝트의 홈페이지 www.newsfromnowhere.kr에 ‘뉴스레터’의 형식으로 일부 소개했다. 예를 들면, ‘뉴스레터 07’은 2011년 4월 서울에서 만난 영화감독 이창동과의 대화를 담고 있고, ‘뉴스레터 15’에서는 작곡가 토시 이치야나기의 실험음악 개념이 이야기된다.

이러한 대화에서 우리는 예술에 관한 여러 관점의 차이들과 자연스럽게 연루된다. 즉, 누군가의 질문과 대답에 담긴 논증의 힘과 우리 스스로의 원칙 사이의 거리감을 해석해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힘의 기원을 비판적으로 추적하는 시각을 견지하면서 가치의 차이를 맥락화해 볼 수도 있다. 허무주의와 난해성에 갇혀 동시대 예술이 사회의 현실로부터 고립되어가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는 지금, 나는 예술과 관계를 맺으며 존재하는 여러 생각의 메아리들을 애써 찾으려는 두 작가의 노력이 예술 자체의 권위를 외화하려는 빈곤한 의식이 아닌, 예술의 지층에 축적된 여러 차원의 사회적 관계성을 적시하려는 하나의 철학적 시도라고 평가한다.

조형적 물질이 아닌 언어적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우선 관객과 만난 문경원․전준호의 창작 과정은 어떤 온전한 합의체와 완결체로서의 ‘작품’을 지향하지 않는다. ‘뉴스레터 01’에서 그들의 프로젝트는 크게 두 축으로 표명되었다. 하나는 ‘플랫폼’이고, 다른 하나는 ‘엑스포’이다. 전자는 정신의 흐름과 그 세세한 지류로 향하는 길목이 되고자 하는 의지를 대변한다. 후자는 참여를 통한 미적 생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개념이다. 자칫 설명과 이해의 전형적인 징후에 발목 잡혀 그저 비가시적인 지배적 요인들만을 따를 위험이 있는 설정이다. 하지만 이들의 시도는 지금까지 동시대 예술계가 형성한 규범과 제도가 집단적인 구속력을 발휘하면서 그것의 다양한 승인방식을 정당화하는 담론들만을 동력으로 삼아왔다는 사실을 의심으로 고려해야함을 주장한다.

그런 점에서 보자면, 문경원․전준호의 대화적 방식은 미학적 비평의 성격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예술이 권력적으로 담론화되는 방식을 문제시하는 이론가라면 기존의 위계적 규범들을 도덕적으로 거부하거나, 혹은 새로운 도덕적 합의를 도출해내려고 서두르기 쉽다. 그런데 나는 그보다는 우선, 그러한 담론에 대한 관점을 변형시킬 수 있는 가능한 일상적 논거들을 제시하고 우리 감상자들이 그것들을 감수성과 인식의 영역에서 확장시키는 방식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그런 문제의식의 실천이 이론가가 아닌 (문경원과 전준호 같은) 조형예술가에 의해 행해진다면 더욱 그렇다.

문경원․전준호는 대화 상대자의 목소리를 구조화하고, 자신들의 사적인 언어 체험을 대중들에게 열려진 지성적인 영역으로 치환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질적으로 뉴스레터 텍스트의 물질적 존재는 그동안 예술계를 이루어왔던 공동체적 구성요소들에 대한 정직한 해명과 교정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이쯤 되면 그들에게 큐레이터는 바로 그들 스스로다. 그 방식은 좁게는 한국의 예술계, 나아가 전지구적 예술 지형의 병리적 요소들에 대한 심각한 비평적 개입으로 확장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허위적 공론과 종속적인 합의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선택한 길이다. 나는 체념의 소음들에 수응하지 않으면서 인간과 세계의 압도적 사태를 회의하고 탐문하는 셀프-큐레이팅이라는 길을 예술가로서 고백할 내면에 대한 자기부정과 해체의 기회로서 긍정하고 싶다. 물론 지식권력의 선별적 재생산을 보편적 미의식 달성의 수단으로 삼는다는 혐의를 피할 수 없을 테고, 누추한 욕망과 권력과의 불협화가 진통으로 다가올 수 있다. 때문에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자칫 우둔한 진정성으로 비칠 위험을 감수해야한다.

두 작가는 ‘협업자’ 6명(혹은 팀)과 더불어 역사의 진행을 상상하고 그것을 통해 미래를 호명해보는 미학적 비평을 다양하게 실험한다. 선명한 표현에 이르기보다는 담담한 어조로 현재 세계를 되돌아보고 가상의 시간을 내다본다. 이러한 방식 역시 앞서 언급한 대화적 의식과 유사한 실험성을 취한다. ‘뉴스레터 04’에서는 패션디자이너 츠무라 코스케의 유니폼 창작 과정이 다음과 같이 소개되었다: “이는 단순히 SF적 영상이나 미래에 대한 이슈가 목적이 아니라, 미래 시점에서 과거인 지금의 다양한 아젠다를 논의하기 위한 설정이다. 현재 사회 속에서 어떤 비전을 가져야 할지 반성하기 위한 접근이자 서로의 분야에서 유효한 철학과 시각을 주고받는 대화이기도 하다. 이 상징적인 유니폼은 엑스포 형식의 공동작업, 즉 세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우리의 아젠다를 제안하는 PR 필름의 주인공이 입을 예정이다.”

또한 ‘뉴스레터 10’은 디자인그룹 타크람의 지구멸망 후 미래 사회의 휴대용 수통 제작 워크숍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여기에서도 문경원․전준호가 고민하고 있는 예술적 실천 방향이 언급된다: “모든 미래지향적인 설정은 단지 미래에 대한 진단이나 이슈가 목적이 아니라 현 시점의 다양한 아젠다를 논의하기 위한 설정이고, 예술의 실천적 역할 즉 현재의 사회, 세계 속에서 어떤 비전을 가져야 하는지 반성하기 위한 접근 시각이다.” 혹자는 타크람의 디자인이 현실에 대처하지 못하는 인간의 무능을 대체할만한 물질 제공으로서의 목적을 가지는 것은 아닌지 물을 수 있다. 무한한 생산력을 발휘하여 자기완성적인 체제를 이루려는 인간의 이성에 복무하는 데에서 여전히 예술의 사회적 승화를 꿈꾸려는 시도로 볼 수도 있다.

자, 그렇다면 우리는 두 작가와 협업자들의 실험성의 의의를 어떻게 논할 수 있을까? 아마도 이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끊임없이 진보하는 인간 세계가 왜 예술을 필요로 하는지 그 이유를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 될 것이다. 혹은 예술의 진실성에 막연하게 의존하며 예술로부터 인간성을 상기하길 원했던 인류의 오래된 기대치에 대한 문제의식을 재차 드러내는 기회일 수도 있다. 미래 예술을 꿈꾸는 예술가의 방식이 과학의 엄밀함을 배경으로 삼는 것은 자연을 정복 가능한 대상으로 삼는 인간 욕망의 자연스러운 발현이다. 한편으로, 예술은 그 자체가 이미 사회적이기 때문에 예술에 어떤 기능을 부과하고 그것의 실천을 강제하는 것 또한 사회이다. 이처럼 문경원․전준호의 프로젝트는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위해 예술의 다면적인 임무를, 즉 예술가의 사회적 의식과 경험으로부터 부여되는 것과 하나의 세계로서의 환경에 의해 부여되는 것 모두를 관객들 스스로가 하나의 총체성으로 느끼게 한다. 예술 본연의 임무를 현실의 변형과 미래의 상상 과정에서 인간이 행하는 창의성에서 찾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이렇게 문경원․전준호가 택한 “공동의 진술” 방식을 조심스레 들을 수 있었다. 두 작가는 한 개인으로서의 불가피함을 암시한다거나 예술의 엄연한 신비를 강조하는 작업과는 거리가 멀다. 즉, 현실을 부정하기보다는 현실에 집중하고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의식의 충만함을 추구한다. 그래서 그들은 언어와 과학에 의한 반성적 동질화를 관객에게 제안한다. 미약하게나마 예술을 향해 목소리를 내는 시도가 반성의 진술로서 시각화될 때, 미확정적 상황에서의 사고는 능동적이고 조작적인 일련의 형식 탐구를 필요로 한다. 흥미로운 점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는 혼돈을 품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이다. 그 ‘혼돈’은 비록 근대 세계에서는 자신의 존재의 자리를 틀지 못해 왔지만, 두 작가의 창작 실천에서는 미래를 향한 개념적인 근거가 된다.

프로젝트의 출발에서 제기했던 예술의 사회성이라는 의문을 풀어나가기 위한 가설이 될 수도 있고 해결책이 될 수도 있을 시각적 형식들을 내세워 문경원․전준호는 나름의 실천적 주장을 제기한다. 2012년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가진 전시에서는 월드로잉, 포스터그래픽스, 영화, 자동제어기계, 카펫퀼트 같은 협업적 노동의 산물들이 선보였다. 이 작품들은 노동하는 의식으로서 획득될 수 있는 예술가의 창조적 가치를 사유하게 하고, 동시에 예술의 생산적 본질을 관통하는 인공-물질의 변증적 관계도 수렴한다. 예를 들면, 발터 벤야민에게 <앙겔루스 노부스>가 역사철학적 사유의 대상이 되었듯, 문경원․전준호에게 <안녕하세요! 쿠르베씨>는 사회의 아포리아를 대하는 예술가의 응전을 상징할 <어서오세요! 쿠르베씨>로 다시 태어났다. <세상의 저편> 역시 자연과 기술, 소멸과 탄생이라는 숙명적 관계를 마주할 수밖에 없는 인간이 취하는 예술적 태도를 사유하게 한다. 인류의 종말이라는 사건 앞에 과연 예술의 몫을 남길 정신적 장소가 우리 인간에게 있을 수 있을까 싶지만, 존재의 불안을 다스려줄 수 있는 ‘인간적’인 무엇이 있다면 그것은 오직 예술이기 때문에 가능한 희망을 <세상의 저편>에서 엿볼 수 있다.

문경원․전준호는 결국 동시대 미술계의 질서에서 곤경함으로 느껴지는 세목들을 드러내어 창작의 에너지로 극복하길 원한다. 이는 그들의 “두 개의 시선”에 겨냥된 의미 있는 전략이다. 그러므로 반성과 실천 사이의 삼투현상에 비유할 수 있는 그들의 예술 행위를 이끌어가는 기본적인 논리의 선은 어떠한 위압적인 답변에 안착하지 않는다. 두 작가의 이러한 예술적 의지는 전시장에서 확인된다. 표백된 듯한, 낯설고 개념적인 정연함이 관객들의 감각을 사로잡는다. 예술의 사회성이라는, 어찌 보면 자본의 시대에 그다지 새롭지 않을 개념을 주제화하는 두 작가의 작품들이 예술주의나 예술페티시즘에 갇히지 않은 이유가 느껴진다. 내용이 예술적 전형으로 실체화 되어버리는 순간, 그 사회성 개념은 역설적으로 본연의 적극성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음을 기억하자. 뜨겁고 숨가쁠 정도의 저항적인 조형 형식들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한 관객들은 오히려 예술권력적 득의를 은폐하거나 그것의 노출을 모호하게 지연하고 있지 않냐는 혐의를 두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유의 방식 덕택에 예술을 “인간 인식의 변화를 위한 과정의 기획”으로서 설정하는 두 작가의 진정성은 감각적 자극의 차원에서만 느껴지는 단순함을 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앞으로 문경원․전준호의 프로젝트는 어떻게 전개되고, 또 어떤 문제를 제기할지 궁금하다. 지금까지 그들 작품에서 볼 수 있었던 시간의 풍경들은 단순히 예술이라는 마술의 결과가 아니다. 섬세하게 다듬어진 대화적 언어, 직접적 표상의 억제와 새로운 표상의 발견, 다양한 사건과 서사로 가득찬 구조적 공간 등의 특징은 궁극적으로 예술의 사회성 개념과 미적 질 사이에 의미 있는 연관을 만드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 동시에 근대 이후 예술담론에서의 합리성의 비합리성을 깨닫게 하기 위한 역사적 몽타주로서도 적절하게 기능했다. 애초에 두 작가가 던진 화두인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조명”은 충분히 낡아버린 무기력한 예술이 기거하는 현실 세계에서의 예술과 예술가에게 중요한 책무로 귀결된다. 두 작가의 창의적 시도는 예술 작품의 내재적 구성 원리뿐만 아니라 그 속에 은닉된 사회적 내용을 드러내어 그런 책무의 계기를 더욱 강화하고 예술의 존재 동인을 구체화할 것이다. 그들의 탐구의 집요함과 협업의 솟구침을 좀 더 지켜보자. 그럼으로써 예술은 계속된다.